
뉴스홈 > 환경일반
- 제13회 울산생태 전국사진 공모전 수상작 발표
- 울산시는 울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회장 신만균)가 실시한 ‘제13회 울산생태 전국사진 공모전’ 결과 박유환 씨의 ‘십리대숲의 위용’이 ‘대상’..
2023-10-10 20:22  손혜경 기자
- 하동 금남·금성·진교 해역에 보리새우 방류

- 하동군은 어업인의 새로운 소득 창출을 위한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40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난 4일 금남면 중평·대치, 금성면 나팔·고포, 진교면 술상 해역에 어린 보리새우 65만 마리를 방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날 방류한 어린 보리새우는 지난 7월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60일 이상..
2023-10-05 19:57  이재민 기자
- 유아 체험용 애완곤충 무료분양
- 충청북도농업기술원은 9월 1일부터 청주시 오창읍 내 3개 유치원에 애완곤충인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 무료 분양을 하고 있다.
애완곤충은 사람들이 곁에 두고 기..
2023-09-05 18:09  문홍석 기자
- 해양보호생물 ‘발콩게’ 서식처 작년에 이어 ‘또’ 발..
- 경기도가 안산시 대부도 일대에서 해양보호생물인 ‘발콩게’ 서식을 추가로 확인했다. 작년 8월, 50년만에 발콩게 서식처 1곳을 발견한 뒤 연이어 올해 다른 서식처를 ..
2023-08-14 16:03  전덕채 기자
- 모바일 대형폐기물 간편 배출서비스 ‘빼기’ 도입

- 남해군이 지난 2일 모바일 대형폐기물 간편 배출 서비스 도입을 위해 ‘빼기’ 플랫폼 개발사업자인 ㈜같다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장충남 군수, ㈜같다 고재성 대표 등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대형폐기물 간편 배출 서비스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 준비기간을 거친 뒤, 9월부터 서비스를 ..
2023-08-04 22:39  이재민 기자
- 1회용품 제로 챌린지 동참

- 하동교육지원청은 환경부가 추진하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1회용품 제로 챌린지’ 릴레이에 동참했다고 17일 밝혔다.
‘1회용품 제로 챌리지’는 기후 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해 1회용품 사용은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을 생활 속에 실천하기 ..
2023-07-17 20:36  이재민 기자
- 과수화상병 근본적인 해결 방안 마련해

-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은 사과 화상병 저항성 대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여 저항성 효과가 높은 G.11 대목에 대한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하였다고 밝혔다.
과수 화상병은 2015년 발생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140여 농가 1,124ha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올해도 전국적으로 81ha가 넘게 발생하고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
2023-07-12 17:51  문홍석 기자
-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20주년 기념세미나」 개최
- 부산시는 오는(22일)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20주년 기념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은 2003년 을숙도대..
2023-06-22 20:05  김경희 기자
- 산림환경연구소, 산림교육프로그램 인증 획득
- 충북 산림환경연구소는 자체 개발한 유아 대상 프로그램 ‘출동! 꼬마 나무의사’가 산림청으로부터 산림교육프로그램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산림교육프로..
2023-06-09 12:38  문홍석 기자
- 「고품질 유기질 비료 무상 공급」 협약 체결

- 음식물쓰레기가 묘목에 새로운 생명을 주는 ‘고품질 유기질 비료’로 다시 태어난다!
부산시는 오늘(25일) 오후 2시 시청에서 고품질 유기질 비료를 매년 20톤씩 5년간 무상으로 공급받는 「고품질 유기질 비료 무상 공급」 협약을 ㈜우람과 체결한다고 밝혔다.
㈜우람은 음식물쓰레..
2023-04-25 21:57  김경희 기자
- 「2023년 ESG 상생경영 지원사업」 추진
- 부산시는 부산상공회의소와 함께 ‘2023년 ESG 상생경영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ESG 상생경영 지원사업’은 환경·사회·투명(..
2023-04-21 20:41  김경희 기자
- 광양시 백운산 자연휴양림, 식물생태숲 명품 생태체험 공간으..

- 광양시는 2006년부터 운영해오던 ‘백운산 자연휴양림 식물생태숲’에 대해 산림생물 다양성을 보전하고 방문객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고자 명품 생태체험 공간으로 새 단장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백운산 자연휴양림 내 20ha 규모로 조성된 식물생태숲은 백운배나무, 꽃무릇 등 백..
2023-04-13 23:06  허은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