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11월 21일 오후 3시 시청 12층 국제회의장에서 ‘부산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관련 의견을 나누는 토론회를 개최한다.
연안오염총량관리제란 해역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관리함으로써 해양환경 보전과 개발의 조화를 경제적으로 실현하려는 것이다. 국토해양부 주관으로 지난 2007년 마산만 특별관리해역을 대상으로 시행되어 수질 개선 및 해양생태계 회복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2014년 부산연안 등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지난 2011년 4월 국토해양부와 협약을 체결해 올해 말까지 부산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을 위한 타당성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연구용역은 부산발전연구원이 맡았으며, ‘2014년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시행’을 목표로 이에 따른 도입 타당성 여부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연구용역을 위한 타당성 조사의 일환으로,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에 따른 필요성 등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관련 전문가·시민단체·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하며, 부산발전연구원 백경훈 박사가 ‘부산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방안’을 주제로 발표 및 종합토론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부산연안은 1982년 국토해양부의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되었으며, 그간 해양수질환경 개선 및 생태계 등의 건강성 회복을 위해 해양오염퇴적물 준설, 침적폐기물 정화 등 각종 정화사업을 실시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하수처리시설 및 오염배출 사업장 등에 대한 농도중심의 배출 규제로는 내만 및 해수욕장 등의 이용수질 향상에 어려움이 있는 등 한계를 보이고 있다.
연안오염총량관리제는 오염물질이 해역 내로 유입되기 전에 차단하는 사전환경관리방안으로, 이 제도가 도입되면 부산연안의 해양수질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제도 도입 시 해양수질 개선을 위한 각종 오염저감시설 설치와 개발에 제한이 따르는 등 쟁점사항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이번 토론회가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에 따른 타당성과 쟁점사항 등을 공론화하는 등 부산연안의 환경관리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토론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는 연안오염총량관리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제도 도입에 앞서 시민단체 및 지역 주민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danews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