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달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오기일(烏忌日)
이라고 하며,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은 도교적인 명칭으로 삼원( 상원, 중원, 하원) 중 첫째이다. 새해 들어 처음 맞이하는 보름달로서 농사의 시작이라 하여 매우 큰 명절로 여겼다. 정월은 한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해를 설계하는 달이다. 또 울력서에 "정월은 천지인 삼자가 합일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이라고 설명했다.
정월 대보름의 풍습 한국에서는 달은 음에 해당하여 여성으로 본다. 달은 여신, 땅으로 표상되며 여신이 만불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겼다. 또한 달은 풍요로움의 상징이다. 한국에서는 대보름을 설과 같이 중요한 명절로 여겼으며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냈었다.
정월대보름의 음식 대보름에는 오곡밥을 지어 먹으며 아침 일찍 부럼이라고 하는 껍질이 단단한 과일을 깨물어서 마당에 버리는데 이렇게 하면 1년 내내 부수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부럼 깨비) 또 귀밝이술을 마시고 밤에는 윗산에 올라가 달맞이를 하며, 소원성취를 빌고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하였다. 대보름의 풍년과 복을 비는 행사로는 볏가릿대 세우기, 용알뜨기, 놋다리 밟기 등이 있고 놀이로는 지신발기, 용궁맞이, 하회별신굿, 쥐불 놓기(놀이) 사자놀이, 중달리기, 차전놀이등이 있으며 그 밖에 더위 팔기도 있다. 대보름하면 누가 뭐라 해도 음식인데 대보름에 차려먹는 걸식으로는 부럼, 귀 밝기 술 외에도 약밥, 오곡밥, 묵은 나물과 복쌈 등이 있다.또 고사리, 버섯, 오이고지, 호박고지, 가지껍질, 무시래기 등 햇볕에 말린 묵은 나물을 물에 잘 씻어서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건강하게 지낸다고 하였다. (지금은 이것이 보양식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옛 조상들의 지혜에 감탄 한다.) 부럼 - 정월 보름날 새벽에는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의미에서 밤, 잣, 호두등 단단한
견과류의 부럼을 먹는다. 오곡밥 - 쌀, 보리, 조, 수수, 팥등의 다섯가지 이상의 곡물을 섞어 지은 오곡밥을 먹는다. 그외에 약밥, 복쌈(나물에 밥 싸먹는것) 귀밝이술(찬술을 남녀 구별 없이 조금씩 마셨다 한다) 술떡 등이 있다. 풍습으로 대보름날에는 세집이상 성이 다른 집 밥을 먹어야 그 해 운이 좋다 하였다 그래서 하루 세번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번을 먹어야 좋다고 믿었다 한다. 대보름 놀이 연 날리기(겨울내내 날리던 연을 이날 날려 보낸다), 쥐불놀이 (벌레 없애기), 횃불싸움((두 마을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햇불 들고 싸운다), 사자희(머리에 사자 가면을 쓰고 농악을 울리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춤추며 논다)그외에 줄다리기, 석전, 고싸움 등이 있다.
자손들에게 대보름의 의미와 풍습 그리고 옛 조상들의 지혜를 알려 온고지신의 정신을 되살리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danews 무단복제-재배포 금지